2013년 11월 28일 목요일

그리스

*비중은 무엇입니까?
주로 15℃ 에 있어서 부피시료의 질량과 이와 같은 부피 4℃ 에 있어서의 물의 질 량과의 비를 말합니다.
*주도란 무엇입니까?
주도란 그리스의 무르고 단단한 정도를 수치로 나타내는 것 입니다. 그리스를 일정한 용기에 담아 표면을 평평하게 한 후 그 위로 일정한 무게의 추를 낙하시켜 추가 침투한 깊이를 측정하는 것 입니다.
물론 그리스가 묽을수록 추가 더 깊이 침투하고 단단할수록 덜 들어가게 됩니다. 그러므로 주도의 수치는 윤활유의 점도와는 반대로 묽은 것이 측정수치가 더 크고, 단단한 것 일수록 수치가 더 작습니다.
그리스의 주도를 보다 쉽게 알게 하기 위해 자동차용 윤활유의 SAE 점도구분과 공업용 윤활우의 ISO 점도구분에 상당하는 것처럼 미국 그리스 협회 NLGI(National Lubricating Grease Institute)에서는 그리스의 무르고 단단한 정도를 000에서 6까지 9 단계로 그리스의 묽고 된 정도를 등급으로 나타낸 것입니다. 등급가 높을수록 단단합니다.
*적점은 무엇이며 사용온도와의 상관관계는 어떻습니까?
그리스의 온도가 상승하여 반고체 상태에서 액체상태로 변하는 최초의 온도를 적점이라하고 그리스는 적점까지 사용할 수 없습니다.
*고온그리스와 일반그리스의 차이점은 무엇입니까?
고온 그리스는 Li계 복합 증주제나 폴리우레아 증주제를 사용하여 고온에서 산화안정성을 갖으므로 그리스의 급지기간을  연장하고 높은 온도에서 그리스가 단단해지거나 물러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원활한 윤활과 밀봉성능을 제공합니다. 또한 진동이 많이 발생하는 곳에서 높은 수준의 베어링 보호성능을 나타내 줍니다.
*nDm값이 무엇이고 구하는 법을 알려주세요.
베어링의 크기와 베어링의 회전속도를 고려하여 베어링에 사용될 그리스의 주도를 구할 수 있는데 이를 베어링의 속도요인이라고도 하고, nDm값이라고도 합니다.
nDm = 베어링의 회전수(rpm) * (베어링의 내경+외경)/2
*극압 그리스와 일반 그리스의 차이점은 무엇입니까?
극압 그리스에는 EP 첨가제가 함유되어 고부하에 우수한 성능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급지주기 결정법을 소개하여 주십시요.
t=그리스의 재급지주기 , k=베어링의 종류에 따라다름, n=rpm, d=베어링의 직경 (베어링 제조사인 SKF사가 추천한 급지주기 공식으로 사용온도 70℃ 까지 유효하 고 그 이상에서는 15℃가 올라갈 때마다 재급지주기는 1/2로 감소한다 )
*그리스의 사용수명을 알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이 있습니까?
그리스의 수명은 온도와 속도에 의해 크게 좌우되지만 여러 가지 조건들이 복잡하 게 작용하므로 예측하기란 매우 어려워서 대개 경험에 의존합니다. 하지만 많은 제 조업체들은 수명을 예측할 수 있는 계산식이나 그래프 등을 소비자들에게 알려주고 있으므로 이에 따른 관리가 매우 중요합니다.
*재급지량은 어떻게 결정하나요?
평 베어링 Q=4d cm3/h) Q = 시간당 급지량, d = 축의 직경
구름 베어링 Q=0.005DB G = 충진 그리스의 양, D = 베어링의 외경, B=베어링의 폭
*그리스의 주요 열화원인은 무엇입니까?
기계적 작용, 높은 온도, 산화, 오염물질 등이 주요 원인입니다.
*그리스는 혼용하여 사용해도 괜찮습니까?
원칙적으로 불가합니다. 만약 사용 그리스 메이커를 바꾸신다면 깨끗이 플러싱을 한 후 혼용없이 한 제품의 그리스를 사용할 것을 추천합니다. 
*산화/열화의 원인은 무엇입니까?
윤활의 주체인 기유의 산화작용과 항상 공기와 접촉되고 높은 온도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그리스의 사용에 따른 색깔 변화는 어떻습니까?
일반적으로 그리스를 사용하게 되면 산화와 열화작용이 일어나고 불순물의 혼입이 일어나므로 어두운 색으로 변하게 되며, 일반적으로 그리스 색의 변화를 통하여 경험적으로 교환주기를 결정하게 됩니다만 그리스의 종류 및 메이커에 따라 성능의 변화 없이 색상의 변화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잘 관찰해야 합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