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11월 28일 목요일

플러싱,, 합성유로 바꿀 때 꼭 해야하는건가요?

아직까지도 잘못알려져 있는 오일에 대한 상식중 하나.
광유에서 합성유로 교환하려면
플러싱을 해야한다는것.
게다가 합성유라도 오일이 바뀌면 플러싱을 해야 한다고들까지...???

결론적으로 플러싱은 오일의 바뀜이랑 전혀 상관없습니다

플러싱이란 엔진내부의 오염물질을 손쉽게 제거하여
엔진의 성능을 좀더 유지.관리하기 위함이지
엔진오일이 바뀌거나 할때 기존유를 싹~제거하기 위함은 아닙니다

이런 오해가 생긴이유는..
오일은 서로 섞이지 않거나 혼용시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는 우려때문일 것입니다
하지만 엔진오일은 대부분 서로 잘 섞입니다
물론 굳이 이것저것 섞어서 생기는 이득같은 것은 별로 없기에
추천할 만한 방법은 아닙니다

그럼 플러싱은 왜 할까요?
잠깐 언급했듯이 엔진내부 청소입니다
엔진내부를 청소한다는 것은 엔진내부에 무언가 불필요한 것들이 있다는 것이구요
그 불필요한 것들은 그럼 또 왜 생길까요?
엔진은 연료가 있어야 움직입니다 그것도 태워서요
연료는 거의 다 타버릴것 같지만 완전연소는 어렵습니다 매연이 그래서 생기죠
라이타를 켜면 그을름이 거의 없이 타구요
성냥을 켜면 그을름이 많이 생기죠
이거야 공중으로 날아가버리지만
엔진내부에서는 밖으로 다 배출되지 못하고 남는 그을름들이 있습니다
이런 것들이 슬러지라고 불리는 것들입니다
즉 연료가 타고 남은 것들이 엔진내부에 남게 되는 것이구요
이것들은 엔진내부의 열로 인해 엔진부품들에 달라붙게 됩니다
그렇게 달라붙은 오염물질들은 엔진성능을 떨어뜨리게 됩니다
이런 오염물을 제거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엔진을 분해하여 직접 닦아내는 것입니다
하지만 비용과 시간이ㅠㅜ

그래서 플러싱을 이용하여 엔진내부를 깨끗하게 유지하려는 방법이 생기게 된것입니다

오호~ 그렇다면 오일교환시마다 플러싱을 하면 좋겠 네요?
물론 플러싱을 자주한다고 해서 나쁠것은 없죠(단 제품의 성능이 우수하다는 전제하에서)
하지만 이것 또 은근히 아깝다는 생각이 들죠ㅋ

그래서 마지노선을 잡아보자면
lpg차량의 경우라면 전 플러싱 굳이 추천 하지 않습니다
이 lpg(lpi)엔진은 연소율이 거의 100%에 가깝습니다
그래서 플러싱이 굳이 불필요하다고 봅니다
그래도 하자면 2~3년에 한번정도(키로수로는 3만에 한번정도)

그다음 가솔린은 1~2년(2만키로에 한번)

그리고 플러싱이 가장 효율적으로 효과를 보는 
디젤엔진차량
디젤엔진은 압축착화(즉 연료가 압축되어 지들끼리 불이 붙는...)방식으로
그을름이 많이 발생합니다
그래서 1년에 적어도 한번(1만키로에 한번)을 해주시는게 엔진관리에 유리합니다

플러싱의 종류 역시 다양합니다
기존유를 빼고 하는것
기존유에 넣고 하는것
기존유에 넣고 운행하다 빼는것

다 장점이 있습니다
기존유를 빼고 하는 방식은
엔진내부에 이물질이 유입되었을 때 유용합니다
물이나 기타 이물질을 뺄때는 역시 헹궈내는 것이 좋구요
굳이 플러싱제품이 아닌 엔진오일로 몇번 헹궈내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됩니다

둘째 기존유에 첨가하는것
가장 일반적인 방법이구요
계속적인 관리를 하시는 분들이선택하는 방법

세번째 기존유에 넣고 운행 후 빼는 방법은
아주 꼼꼼하게 매일매일 운행키로수를 체크하시는 분들에게만 추천합니다
주로 플러싱제를 넣고 300키로 정도 운행후 오일교환을 하는데
저같이 생각없이 운전하는 분들에겐 아주 비추입니다
잊어버리고 계속 타고 다니다보면 엔진오일이 점도가 플러싱제의 역활로
묽어져버려 엔진보호에 어렴움이 생기구요
플러싱제의 독특한 성분으로 엔진내부의 고무성분들이 경화될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비추.


다시 정리하지면 
플러싱은 필수가 아닌 선택사항이라는것
엔진유지관리용이라는것
오일이랑 상관없다는것

끝~! ^^

Synthetic-Mineral-Synthetic Swapping(합성유에서 광유,다시 광유에서 합성유로의 교체)

Synthetic-Mineral-Synthetic Swapping
My wife took her 2001 Mercedes-Benz E320S 4Matic to
a local shop to get its brake pads replaced.
I suggested getting the oil changed between
servicing as a precaution.
However, despite the recommendation
for synthetic oil, the local mechanic used
dinosaur-derived (mineral) motor oil.
Granted, he used the proper weight,
however, it's not synthetic.
I realize many folks have switched their cars
from fossil oil to synthetic and that there are branded blends of fossil/synthetic,
but I've never heard of switching from synthetic to fossil.
Should I be concerned for either
the long- or short-term?
Should I have the shop replace the filter and
all the oil with synthetic?
This car is used daily as the family shuttle and 
rarely gets to stretch out its legs Autobahn-style.
And as you know, it gets pretty darn warm out
this way during the summer.
So I assume this qualifies for heavy-duty use.Alvin Lin
Las Vegas, Nevada

Clearly the shop made a mistake if they were
instructed to fill with synthetic
but used mineral oil.
In that case they should change to the correct oil
on their nickel.
Mechanically, the mineral oil will not harm
the engine in the short term, so you can change back
to synthetic at your convenience.
Mineral oils form more deposits than synthetics,
and are less tolerant of high temperature,
so it would be smart to change back to synthetic
sooner rather than later,
and in any case before the harsh desert heat takes its toll.


합성유들을 주로 취급하다보니 간혹 뚜껑에서 누유가 되는 제품들이 있습니다
묘하게도 국산들이 더 그렇습니다.....
여튼 이런 누유제품들은 판매가 어려워 제가 사용을 합니다
국산,미국산,유럽산,일본산,,,광유와 합성유
점도도 다 제각각이죠, 0w40,5w30,5w40,5w50...
한번 교환할때 제 차가 8리터가량의 엔진오일이 필요하구요
그러다 보면 8개의 서로 다른 오일을 혼용하여 사용합니다

제가 그런 혼용를 해야하는 이유는 팔지도 못하고 버릴수도 없어서죠 ㅋ
지금까지도 아무런 문제가 없습니다 당연한 결과죠...

결론~ 합성유에서 광유든... 광유에서 합성유든...오일의 바뀜은~~~~
아무 문제없다 입니다   끝~^^


자동차용 윤활유

*합성유란 무엇 입니까?
재래식 광유계 윤활기유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화학반응공정을 통해 원료가 되는 물질 (기유)의 조성을 원하는 대로 조정하여 만든 윤활기유를 합성유라고 합니다. 합성유는 일반적으로 광유에 비하여 성능이 우수합니다만 그 종류에 따라 용도가 다양하므로 용도에 적합한 제품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합성유 (semi-synthetic)란 무엇 입니까?
합성유의 성능이 필요치 않고, 광유를 사용하기에는 다소 부족한 윤활개소에 광유와 합성유를 혼합하여 사용하기도 하는데 이를 반 합성유라고 합니다. 다시 말하면 광유의 성능을 다소 올려주기 위해 합성유를 광유에 일부 섞은 것을 말 합니다. 그리고 반합성유라고 해서 꼭 합성유의 함량이 50%가 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한 성능과 가격에 맞추어 합성유의 비율은 달라질 수 있습니다.
*합성유 제품이 일반 광유계 제품에 비해 값이 비싼 이유는 무엇입니까?
합성유의 기유를 제조하는데 에는 광유를 정제하는 것 보다 더욱 복잡한 화학공정을 거쳐야 하는데, 이 때 큰 비용이 들게 되며, 결국 최종 윤활유 제품의 가격에 반영됩니다. 하지만 사용기간이 길고, 정비주기를 연장할 수 있어 결국 총 비용이라는 개념하에서 본다면 전반적인 비용은 적어질 수 있습니다.
*합성유를 사용하는 경우 특별한 장점은 무엇입니까?
합성유는 온도가 특별히 낮거나 높을 때 탁월한 성능을 낼 수 있도록 개발된 것 입니다. 이는 즉,
  • 탁월한 시동성: 광유계 윤활기유는 미량의 파라핀 왁스성분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러한 왁스성분은 온도가 내려가면 서로 엉겨 오일의 흐름을 방해합니다. 엔진의 어떤 부분에 엔진오일이 도달하는 데에는 수 초의 시간이 걸리며, 이 수 초의 시간동안 엔진마모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은 특히 겨울철에 더욱 심각하게 발생하게 됩니다. 합성유에는 이러한 흐름을 방해하는 왁스성분이 없으므로 엔진의 시동성능이 우수하고, 시동 시에 발생되는 마모를 줄여 줄 수 있습니다.
  • 교환주기 연장: 합성유는 열화에 대한 저항성능이 우수하며, 따라서 더욱 더 오랜 기간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사용기간중 오일의 소모량이 적고, 사용기간이 길어져 비용을 절약할 수 있으며, 환경을 보호하는데 일조를 할 수 있습니다.
    깨끗한 엔진: 오일이 열화되는 과정 중에 엔진 내 윤활부위에 슬러지와 퇴적물을 생성하게 됩니다. 합성유는 열화에 저항하려는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슬러지와 퇴적물의 발생이 적어 엔진내부가 보다 깨끗하고 효율적인 운전이 될 수 있습니다.
*다급점도오일이란 무엇입니까?
만약 엔진의 운전온도가 일정하다면 오일의 점도가 변하지 않으므로 엔진을 충분히 보호해 줄 수 있어서 좋겠지요. 하지만 계절의 변화에 따라 그리고 주행 속도나 조건에 따라 엔진의 온도는 변하게 되며, 오일의 점도 역시 변하게 됩니다. 온도가 내려가면 점도가 올라가서 뻑뻑해 지고, 온도가 높아지면 점도가 묽어지게 됩니다. 그러므로 엔진오일은 겨울철에 시동을 걸 때나 고속으로 주행하게 될 때에도 엔진을 적절히 보호해 주기에 충분한 묽기의 점도를 가질 수 있어야 합니다. 이렇게 하기 위해서 엔진오일에 점도지수향상제라고 하는 첨가제를 첨가하여 온도변화에 따른 점도의 변화를 줄여주고, 이러한 엔진오일을 다급점도 엔진오일이라고 부릅니다. 일반적으로 시중에 판매되는 엔진오일의 거의 대부분은 바로 이러한 다급점도 엔진오일이며, 미국자동차기술자협회 (SAE)의 점도분류방식에 따라 5W-30, 10W-30, 15W-40 등등의 점도로서 표시하며, 이 때, "W"는 겨울을 의미하는 영어 Winter의 첫 머리글자 입니다
*시중에 엔진의 성능을 높여준다는 많은 종류의 첨가제가 판매되고 있는데 이러한 첨가제를 사용해도 괜찮은가요?
쉘 엔진오일 제품 한 종류를 개발하는 데에는 실험실에서의 실험과 실제 자동차를 사용한 운행실험, 그리고 심지어는 경주용 자동차에 적용하는 무수하고 다양한 실험을 거쳐 개발하게 됩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개발된 엔진오일은 화학제품으로서 합성유 또는 광유의 윤활기유와 다양하고 가혹한 엔진윤활의 요구성능을 골고루 만족시키기 위한 각종 첨가제를 혼합한 것이며, 화학적으로 안정한 상태로 유지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이미 제조된 엔진오일 제품에 별도의 첨가제를 넣는 것은 불필요하며, 엔진오일의 균형을 깨뜨릴 수 있습니다.
*15W-40에서 W의 의미는 무엇입니까?
겨울을 의미하는 Winter의 첫 글자를 나타낸 것이고 저온에서 사용할 수 있는 오일을 나타냅니다.
*사계절용을 사용하여야 하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저온시에도 우수한 시동성을 보장하고, 특히 우리나라와 같이 4계절이 뚜렷한 곳 에서는 계절 변화에 따른 저온 시동시 마모를 개선하기 위해서입니다.
*GL-4와 5의 차이와 용도는 무엇입니까?
GL-4 ; + 마모방지제 + 극압첨가제 a 싱크로 메쉬가 있는 수동 변속장치용 기어오일
GL-5 ; + 다량의 극압첨가제 a 하이포이드 기어용 오일
*부동액/물과의 비율에 따른 어는점은 어떻습니까?
50:50일 경우 -37℃ 까지 냉각수가 얼지 않지만, 65% 이상으로 물에 용해시키는 경우에는 어는점이 올라가게 됩니다.
*부동액의 원료중 PG로 제조 된것과 EG제조된 것의 차이점은 무엇입니까?
PG는 폴리에틸렌 글라이콜 (Polyethylen Glycol)과 EG는에틸렌 글라이콜 (Ethylen Glygol) 을 나타내고, PG의 경우 EG에 비해 독성이 적으므로 환경적인 측면에서 우수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엔진보호제를 첨가하여 사용해도 됩니까?
엔진 보호제는 주로 마모 방지제를 위주로 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윤활유 회사에서 상품화하는 엔진오일은 마모방지제를  포함한 여러가지 첨가제가 복합적으로 첨가되어 있으며, 이들 첨가제가 화학적으로 균형을 이루도록 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추가로 첨가제를 첨가하는 경우 화학적 균형을 잃어 오히려 좋지 못한 결과를 발생시킬 수도 있으므로 주의하는 것이 바람직 합니다.
*LPG 차량에는 어떤 오일을 넣어야 할까요?
출발, 정지와 같은 급가속이 심한 고온 운전조건을 갖는 주로 택시와 같은 LPG차 량의 경우에는 비교적 긴 오일수명을 지닌 Shell Helix LPG Oil를 추천하여 드립니다.
LPG 엔진은 가솔린 엔진을 응용하여 연료계통을 LPG를 사용하도록 제작된 것 입니다. 그런데 LPG의 연소특성은 가솔린을 사용하는 경우보다 연소온도가 높아 엔진내 퇴적물의 발생할 가능성이 가솔린 엔진에 비해 높습니다. 따라서 청정분산성이 우수하여 엔진을 깨끗하게 해 줄 수 있는 성능을 가진 LPG 엔진 전용오일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디젤용 엔진오일을 가솔린 차량에 넣어도 괜찮습니까?
일반적으로 이상이 없습니다만, 디젤 엔진오일에는 청정성과 분산성이 가솔린 엔진오일에 비하여 보강되어 피스톤 주변을 깨끗하게 유지할 수는 있으나 청정분산 첨가제가 스파크 플러그에 오염되어 이상연소 현상이 발생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유압유

*서로 다른 회사의 제품들의 상용성은 어떻습니까?
실험적인 데이터와 규격과 점도가 유사하다면 상용이 가능하지만 설비의 운전조건 즉, 펌프의 압력, 사용온도 등 사용 환경에 따라 상용이 가능하거나 가능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고점도지수유가 무엇이며 언제 사용하는가?
점도지수가 높은 오일로서 광범위한 온도조건에서 운전되는 각종 유압작동 및 제어 장치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특히 온도변화가 심한 야외에서 사용되는 중장비 및 외부온도에 영향을 많이 받는 크레인 및 기타 유압장치에 사용합니다.
*규격(DIN, ISO, MIL…)에 따른 제품 추천법은 어떻습니까?
실제로 DIN, ISO, MIL 등의 규격은 대단히 상세하게 구분되어 규격의 내용을 잘 알고 있으면 적절한 제품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즉, 규격 자체가 사용해야 하는 오일의 종류와 점도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규격의 내용을 파악하는 것이 우선입니다.
다만 고객이 규격의 내용을 상세하게 잘 알지 못하는 경우 폐사에서는 설비의 추천된 규격사양을 보고 이용하기에 최적의 조건을 갖춘 제품을 추천하여 드리고 있습니다.
*난연성 작동유를 사용하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고온에서 화재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서입니다.
*귀사의 난연성 작동유로는 어떤 제품이 있습니까?
물-글리콜 계열의Shell Irus Fluid C, 그리고 인산에스테르 계열의Shell Hydraulic Fluid D 46가 있습니다.
*NAS 등급이 무엇입니까?
미국 항공우주국에서 정한 오일의 오염등급으로 100ml 중의 허용 입자수에 따라 등급을 나눈 규격입니다.
*유압유내 수분제거법에는 무엇이 있습니까?
원심 분리기를 통해 제거하기도 하고 열을 가해 수증기를 증발시키기도 합니다. 또한 필터링을 통해 물을 걸러내는 방법 등이 있습니다.
*산화/열화 판정법 및 발생원인은 무엇입니까?
슬러지나 수분 등의 유무확인과 색변화, 점도측정 등을 통해서 판단할 수 있습니다. 작동유온도의 상승과 작동유가 공기에 노출되므로서 발생하게 됩니다.
*생분해성 유압유는 무엇입니까?
환경을 오염시키지 않고 자연적으로 분해되는 오일을 말합니다. 특히 스위스나 스웨덴과 같이 삼림의 환경오염방지 노력을 선도해 나가는 국가에서는 삼림의 벌채작업 장비에 생분해성 유압작동유를 사용하도록 법제화 해 놓았습니다.

그리스

*비중은 무엇입니까?
주로 15℃ 에 있어서 부피시료의 질량과 이와 같은 부피 4℃ 에 있어서의 물의 질 량과의 비를 말합니다.
*주도란 무엇입니까?
주도란 그리스의 무르고 단단한 정도를 수치로 나타내는 것 입니다. 그리스를 일정한 용기에 담아 표면을 평평하게 한 후 그 위로 일정한 무게의 추를 낙하시켜 추가 침투한 깊이를 측정하는 것 입니다.
물론 그리스가 묽을수록 추가 더 깊이 침투하고 단단할수록 덜 들어가게 됩니다. 그러므로 주도의 수치는 윤활유의 점도와는 반대로 묽은 것이 측정수치가 더 크고, 단단한 것 일수록 수치가 더 작습니다.
그리스의 주도를 보다 쉽게 알게 하기 위해 자동차용 윤활유의 SAE 점도구분과 공업용 윤활우의 ISO 점도구분에 상당하는 것처럼 미국 그리스 협회 NLGI(National Lubricating Grease Institute)에서는 그리스의 무르고 단단한 정도를 000에서 6까지 9 단계로 그리스의 묽고 된 정도를 등급으로 나타낸 것입니다. 등급가 높을수록 단단합니다.
*적점은 무엇이며 사용온도와의 상관관계는 어떻습니까?
그리스의 온도가 상승하여 반고체 상태에서 액체상태로 변하는 최초의 온도를 적점이라하고 그리스는 적점까지 사용할 수 없습니다.
*고온그리스와 일반그리스의 차이점은 무엇입니까?
고온 그리스는 Li계 복합 증주제나 폴리우레아 증주제를 사용하여 고온에서 산화안정성을 갖으므로 그리스의 급지기간을  연장하고 높은 온도에서 그리스가 단단해지거나 물러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원활한 윤활과 밀봉성능을 제공합니다. 또한 진동이 많이 발생하는 곳에서 높은 수준의 베어링 보호성능을 나타내 줍니다.
*nDm값이 무엇이고 구하는 법을 알려주세요.
베어링의 크기와 베어링의 회전속도를 고려하여 베어링에 사용될 그리스의 주도를 구할 수 있는데 이를 베어링의 속도요인이라고도 하고, nDm값이라고도 합니다.
nDm = 베어링의 회전수(rpm) * (베어링의 내경+외경)/2
*극압 그리스와 일반 그리스의 차이점은 무엇입니까?
극압 그리스에는 EP 첨가제가 함유되어 고부하에 우수한 성능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급지주기 결정법을 소개하여 주십시요.
t=그리스의 재급지주기 , k=베어링의 종류에 따라다름, n=rpm, d=베어링의 직경 (베어링 제조사인 SKF사가 추천한 급지주기 공식으로 사용온도 70℃ 까지 유효하 고 그 이상에서는 15℃가 올라갈 때마다 재급지주기는 1/2로 감소한다 )
*그리스의 사용수명을 알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이 있습니까?
그리스의 수명은 온도와 속도에 의해 크게 좌우되지만 여러 가지 조건들이 복잡하 게 작용하므로 예측하기란 매우 어려워서 대개 경험에 의존합니다. 하지만 많은 제 조업체들은 수명을 예측할 수 있는 계산식이나 그래프 등을 소비자들에게 알려주고 있으므로 이에 따른 관리가 매우 중요합니다.
*재급지량은 어떻게 결정하나요?
평 베어링 Q=4d cm3/h) Q = 시간당 급지량, d = 축의 직경
구름 베어링 Q=0.005DB G = 충진 그리스의 양, D = 베어링의 외경, B=베어링의 폭
*그리스의 주요 열화원인은 무엇입니까?
기계적 작용, 높은 온도, 산화, 오염물질 등이 주요 원인입니다.
*그리스는 혼용하여 사용해도 괜찮습니까?
원칙적으로 불가합니다. 만약 사용 그리스 메이커를 바꾸신다면 깨끗이 플러싱을 한 후 혼용없이 한 제품의 그리스를 사용할 것을 추천합니다. 
*산화/열화의 원인은 무엇입니까?
윤활의 주체인 기유의 산화작용과 항상 공기와 접촉되고 높은 온도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그리스의 사용에 따른 색깔 변화는 어떻습니까?
일반적으로 그리스를 사용하게 되면 산화와 열화작용이 일어나고 불순물의 혼입이 일어나므로 어두운 색으로 변하게 되며, 일반적으로 그리스 색의 변화를 통하여 경험적으로 교환주기를 결정하게 됩니다만 그리스의 종류 및 메이커에 따라 성능의 변화 없이 색상의 변화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잘 관찰해야 합니다.

플러싱유

*언제 플러싱을 해야하나요?
기계장치의 신설시
설치된 장치의 분해 손질시
운전 개시시
베어링이나 윤활계통의 개방 검사시
윤활유 교환시
순환계통의 엔진출구 유온과 냉각기출구 유온과의 차가 일정한 기준치 이하가 되었을 때 등이 있겠습니다.
*플러싱 방법은 어떤 절차를 밟나요?
1차 예비세정 → 2차 세정 → 플러싱의 실시 → 배유, 세정(추가 플러싱) → 시운전 기록과 샘플 등의 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Flushing Oil이 갖추어야 할 조건은 무엇이나요?
일반적으로 경질의 나프텐계 오일
사용하고 있는 오일과 동질의 오일
저점도유
인화점이 높은 오일

냉동기유(shell)

*Clavus 와 Clavus G의 차이점은 무엇입니까?
모두 냉동기용 윤활유이지만 Clavus G의 경우 백토처리를 하여 불순물(특히 물과의)의 결합을 최대한 억제시키는 성능이 우수합니다.
*냉매에 따른 제품 추천법
암모니아 ; Clavus Oil
R-11 ; Turbo T 46, Clavus, Clavus G
R-12 ; Clavus, , Clavus G
R-22 ; Clavus, Clavus G
R-113 ; Turbo Oil, Clavus, Clavus G
R-134a: Clavus R
*합성유계 냉동기용 윤활유를 소개하여 주십시요.
합성유계 냉동기유는 우수한 고온 및 저온 성능을 만족시키고 신설기계의 초기운전 및 오버홀 후의 운전중에 발생하기 쉬운 압축기 마모율을 최소화하여 주므로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일반광유로는 만족되기 어려운 할로겐화탄화수소 냉매와의 혼합성이 매우 좋은 알킬벤젠과 탁월한 윤활성을 가진 광유계 기유로 제조된 쉘 SD 리프리져레이터 오일을 추천합니다.
*Floc Point란 무엇입니까?
냉매와 섞어서 냉각 시킬 때 왁스가 석출하는 온도를 말합니다

압축기유(shell)

*압축기 타입에 따른 제품을 추천하여 주십시요.
왕복동형 ; Shell Corena P 68, P 100
회전형 ; Shell Corena RS 32, Comptella 46
터보형 ; Shell Turbo T 32, T 46
*온도, 토출압에 따른 제품을 추천하여 주십시요.
왕복동형 압축기
a. 1, 2, 3 단식 ; 실린더 및 베어링 Shell Corena Oil P 68
b. 4단 이상의 다단식 ; 토출온도 200℃ 이하 Shell Corena Oil P 100

회전형 압축기
a. Rotary Vane 형 : Shell Corena Oil RS 32, Shell Comptella Oil 46
b. Screw 형 : Shell Corena Oil RS 32, Shell Comptella Oil 46

터보형 압축기
a. 링급유 베어링 Shell Turbo Oil T 32 or
b. 순환급유-전동기 구동 베어링 및 기어 .증기터어빈 구동 베어링 Shell Turbo Oil T 46
*합성유를 사용하는 목적은 무엇입니까?
가스 압축기의 경우 부식성 가스와의 접촉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또한 왕복동식 압축기의 경우, 높은 온도에서 오일의 증발에 의한 카본 퇴적물의 발생이 문제가 되는 경우, 그리고, 회전형 압축기의 경우 수분발생이 많아 보다 신속하게 수분을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 합성유를 사용하게 됩니다.

습동면유

Stick Slip이란 무엇입니까?
습동면에 부분적으로 윤활막이 파괴되어 경계윤활이 이루어지고 금속간의 접촉이 일어나 미끄럼이 부자연스러운 현상이 나타납니다. 이를 Stick Slip 현상이라 합니다. 스틱슬립이 발생하게 되면 공작기계의 왕복운동시 일정한 속도로 동작을 할 수 없게 되어 정밀한 가공을 하지 못하게 되므로 생산성을 떨어뜨리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왜 습동면유를 써야하나요?
습동면은 많은 시간 평면 미끄럼 접촉이 있으므로 원활한 운동을 보증하여 가공정도를 높이기 위해서 입니다.

기어유

*AGMA 규격별 제품점도 안내
극심한 온도변화와 수분혼입을 방지할 수 있다면, 일반적으로 윤활유와 그리스 제품의 품질은 기후변화등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으며, 일정기간 옥외에 보관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온도가 영하로 내려가게 되는 경우, 결빙에 민감한 제품, 예를 들면 수용성 절삭유제등의 보관소의 온도가 0℃이하로 떨어지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다음의 제품은 개방된 옥외에 보관해서는 안됩니다.
*왜 WORM 전용유를 사용하여야 하나요?
웜과 휠 사이에 미끄럼 속도가 빠르고 운전온도가 높으므로 고점도의 전용유를 사용하여야 합니다.
웜 기어 전용 윤활유는 극압성보다는 내마찰성 (또는 윤활성)에 보다 중점을 둔 오일로서 마찰을 낮추어 주므로서 동력의 손실을 방지하여 전력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오일의 온도를 낮출 수 있습니다.
또한 일반적으로 웜 휠 (Worm Wheel)은 청동을 함유한 재질로 되어 있어 황-인 (S-P)계열의 극압첨가 제가 포함된 기어오일을 사용하는 경우 웜 휠에 극압첨가제에 의한 부식을 발생시킬 수 있습니다.
*합성기유와 광유계 기유의 차이점은 무엇입니까?
광유는 광범위한 조성이 모두 유효하게 이용되며, 물성에 있어서도 조성별로 다른 특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적용분야에 따라 요구되는 물성들을 가진 석유계 윤활 기유를 제조하기가 비교적 용이합니다. 또한 최적 단가와 성상은 많은 조성의 변화 를 통해 얻을 수 있으며 적절한 첨가제를 첨가하여 물성을 향상시키거나 본질적인 단점을 보완하기가 용이합니다. 이에 반해, 합성유는 광유에 비해 넓은 온도범위에 걸쳐 좋은 윤활성을 나타내고 고온 및 산화안정성이 매우 좋으며 방사선에 대한 저 항성이 놓습니다. 또한 화학적 구조의 변형이나 적절한 첨가제를 혼합하여 쉽게 물 리화학적 특성을 변환시킬 수가 있습니다. 그러나 합성유는 종류에 따라 그 사용 용도가 다르며, 종류에 따라 페인트 및 씨일 재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올바른 선택을 하지 않으면 오히려 광유를 사용하는 것 보다도 훨씬 좋지 않은 결과를 발생시킬 수도 있습니다.
*올바른 기어유 점도 선택법을 소개해 주십시요.
KS규격, AGMA점도 규격을 참조한다.
적당한 점도를 가져야 한다.
점도지수는 적절한 제품을 선택하여야 하지만 일반적으로 높을수록 좋습니다.
산화안정성이 우수해야 한다.
내하중성 및 마모방지성을 가져야 한다.
수분리성이 좋아야 한다.
소포성이 좋아야 한다.
방식, 방청성이 좋아야 한다.
*기어유 적정 급유량은 얼마입니까?
기어의 이빨의1/2~2/3 정도가 잠기도록 하는 것이 적당하겠습니다.

열매체유

*열매체유의 비열은 얼마입니까?
-0.45kcal/℃ 입니다.
*열팽창계수는 얼마입니까?
- 0.00076 입니다.
*열매체유를 사용하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 물을 사용했을 경우 증기압이 발생할 수 있고 100℃ 이상으로 가열할 수 없기 때문에 열매체유를 사용하고, 열매체유를 사용하면 320℃의 높은 온도 범위까지 간접가열을 통해 장시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사용중 오일이 끓어넘치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원유에는 수분이 포함 되어 있으며, 오일을 정제하는 과정에 완전하게 제거되지 않고 보통 수십 ppm 정도의 수분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그러므로 오일의 온도를 급격하게 올리게 되면 오일중 의 수분이 100도 부근에서 끓게 되어 오일 전체가 끓는 것과 같은 현상이 발생 되며, 오일의 양이 너무 많은 경우 탱크 밖으로 넘치게 됩니다. 따라서 오일의 온도를 올리는 과정을 서서히 단계적으로 하여 90도 내지 100도 부근에서 오일중의 수분을 완전히 증발시킨 후 사용하게 되면 끓어 넘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또 다른 이유로, 간혹 시스템을 세척할 때 열매체유에 대하여 아무런 상식없이 물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물이 완전히 건조되지 않은 상태에서 열매체유를 충진하여 가열하게 되면 끓어 넘치는 현상을 피할 수 없습니다.
*광유계와 합성유와의 차이점은 무엇입니까?
광유계
합성유계(알킬벤젠)
사용온도
-10℃ ~ 320℃
(주사용온도 250 ℃)
20℃ ~ 310℃
증기압
300℃ 이하에서는 항상 대기압
증기압이 높아 소음이 있을 수 있고, 오일의 증발손실량이 많다
열안정성
합성유보다 떨어진다
Diphenyl-Diphenyl Oxide, Chlorinated Polyphenyl
등은 열안정성이 좋으나 알킬벤젠(Alkylbenzene)은 아직 미지수이다
사용수명
2년 ~ 8년
광유보다 1.2~1.5배, 그러나 증발 손실량이 많아 보충량 이 많고, 잦은 신유의 보충으로 인하여 사용 수명이 연장 되는 것과 같이 보여질 수 있다
부식안정성
부식안정성이 합성유 보다 좋다
부식안정성이 광유보다 떨어진다
윤활성
윤활성이 매우 우수 하여 펌프 등의 마모를 방지한다.
윤활성이 광유보다 떨어진다
경제성
가격이 합성유보다 많이 싸고, 보충량이 적다
가격이 광유보다 비싸며 보충량이 많이 필요하다
*합성유계의 상용성은 어떻습니까?
합성유와 광유계는 혼용에 아무 이상이 없습니다

2013년 11월 24일 일요일

가을철 차량관리 요령



2015 Audi A3 Cabriolet



The A3 Cabriolet will be offered for the first time in the U.S. next year and will come with a soft cloth top that is stretched over a lightweight kinematic mechanism made of magnesium-steel, and will complement the car's design perfectly.
At the press of a button, the top opens or closes electro-hydraulically in less than 18 seconds, even while driving up to 31 mph. In the opened state, the top -- folded into three layers -- rests in a tray that hardly affects luggage capacity, which is 10.14 cubic ft.

A fully automatic acoustic top with a glass rear window and thick inner foam layer is standard. An active rollover protection system helps protect the occupants in case of a rollover accident. It consists of two spring-loaded plates that are recessed into the body. In case of a rollover or a frontal collision, magnetic actuators open the mechanical lock. Within just a few milliseconds, the plates spring upward in order to help protect occupants, together with the windshield frame.


A3 카브리오는 내년에  처음으로 미국에서 제공
마그네슘 강으로 만든 가벼운 작동기구를 통해 뻗는 부드러운 천으로 된 탑을갖는다
이것은 차의 디자인을 완성하는 것.
31mph속도로 운전하는 동안에도, 탑은 18초 이내에 열고 닫힌다
열린 상태에서 거의 10.14 입방피트의 면적을 갖는다
트렁크 용량에 영향없이 트레이에 달려있다

유리 후면 창과 내부에 두꺼운 거품 층을 갖는 완전자동음향의 표준을 보여준다.
액티브 롤오버 보호 시스템은 전복 사고시 탑승자를 보호하는 데 도움을 준다.
그것은 차량바디에 함몰 된 두 개의 스프링이 장착 된 플레이트로 구성되어 있다.
롤오버 또는 정면 충돌의 경우에는,  애추에이터는 잠금 장치를 연다.
단 몇 밀리초 안에, 유리 프레임은 물론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해 플레이트는 위쪽으로 튕겨오른다.

2013년 11월 21일 목요일

영화 돈크라이마미_

돈크라이마미_울지마 엄마

영화다 실화를 바탕으로 재구성된 영화
슬프고 억울하고 안쓰러운.....
제목처럼 엄마의 울음이 멈추길 바라며 보게된다
엄마의 눈물은 성폭행 피해자인 딸에 대한 아픔과 그 아픔을 사회적 테두리안에서 보호받을 수 없는 억울한 아픔이 만든 눈물이다.
이 영화를 보면서 작품성을 논할 필요는 전혀 없다 단지 보고 있는 내가 엄마가 되고 딸아이가 되어 이해하면 그만이다.
역시나 연기들은 무난하여 감정이입이 어렵지 않지만 내용의 무거움으로 자꾸 피하고 싶어지는 불편함도 있다
어쩜 그런 내맘이 이 영화의 이유일듯하다
잘 알지만 굳이 알려고도 어떤 반응도 하지 않는 나에게 굳이 손가락으로 지적하는것 같다
"너에게 뭘 하라는게 아냐. 사실만이라도 알아줘. 그리고 기억해줘 제발"
그런 느낌으로 시작된 이야기는 점점 커져 마치 내 멱살이라두 잡고 내귀에 소리치듯,
그런 울부짖음으로 다가왔다

'그래 복수해 저 그지 양아치새끼들 다 치워버렷~!'

그치만 그건 또 다른 가해자와 피해자만 생길뿐
오히려 답답함은 사라지지 않는다

허무할뿐....
그게 현실이다

2013년 11월 14일 목요일

발보린 맥스라이프 DEX/Merc ATF (자동미션오일) 이 fully synthetic으로 새로이 업그레이되었네요~

합성유가  좋다는 거 다 압니다
그리고 100%가 더 좋다는것도!~

이 맥스라이프 ATF(DEX/MERC)가 울나라는 물론 외국의 동호회(포럼)에서도
간혹 이거 정말 합성100%맞는지에 대한 이야기들이 나오고 있지요

이런 논쟁아닌 논쟁이 생긴 이유는 아~주 단순합니다

이전의 맥스라이프 ATF 는 신세틱브랜드라고 표기되어 있었기 때문이죠
하지만 몇년전 합성유100%로 바뀌었구요
인터넷에 있는 글들은 지워지지도 않고 수정도 되지 않지요
그래서 정보를 검색하다보면 
이게 100%합성유 맞나?하면서 혼돈이 생기게 되어있습니다

그래서 인터넷을 정말 무지하게 뒤져서 찾아낸 자료가 바로 아래 서류입니다
애쉬랜드는 발보린의 모회사로 케미칼회사입니다





자 다음은 구글번역과 어설픈 영어실력으로 해석을 해보았습니다
읽어보니 참으로 다양한 미션에 사용이 가능하네요
100%합성유(현재는 제품에 full synthetic으로 인쇄되어 표기되어있지요)인지 아닌지에 대해 넘 쉽게 알기도 해지만 몇가지 미션오일규격의 차이도 알게 되었네요~!

MaxLife ATF는 넓은 범위의 요구를 충족하도록 설계된 전체 합성(fully synthetic) 자동 미션 오일입니다. 
MaxLife ATF는  필드 테스트 및 실험실 테스트의 조합을 기반으로 사용규격과 추천을 하고 있습니다.
VALVOLINE은 많은 범위에서  MaxLife ATF을 권장합니다. 
아래 목록은 VALVOLINE는 MaxLife ATF의 사용을 지원하는 응용 프로그램(이른바 미션오일규격)의 샘플입니다. 
VALVOLINE는 테스트를 독립적인 실험실 테스트를 사내에서 실시할 뿐만아니라, 필드테스트를 거쳐 MaxLife ATF 성능을 지원(규격과 추천)을 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규격을 미션제조사에서 승인하거나 평가한 것은 아님을 밝힙니다

• Allison TES 389, C-4
ATF 3403 M115
• Audi G-052-025-A2, G-052-162-A1
BMW LT71141 or LA2634 fluids
• Ford MERCON®
• Ford FNR5
• Ford MERCON® V
• Ford MERCON® SP
• MERCON® LV
• GM 9986195
• GM DEXRON® II, III and VI
• Honda/Acura ATF-Z1 (except in CVTs)
• Hyundai SP-II, SP-III, SP-IV, and SPH-IV
JWS 3309
• KIA SP-II and SP-III Fluids
KIA Red 1
• MAN 339 Type F
• Mazda M-V
Mercedes Benz Sheet 236.x (except 236.12, 236.14, and 236.20)
• Mercedes Benz NAG-1
• MOPAR AS68RC ATF
• Mitsubishi Diamond SP-II and SP-III
• Nissan Matic-D, Matic-J, Matic-K, and Matic-S
• Subaru ATF
• Subaru ATF-HP
• Toyota / Lexus Type T, T-III and T-IV
• Toyota WS (except Hybrid vehicles)
• Voith H55.6336.33 (G1363), H55.6335.33(G607)
• Volvo 1161521 and 1161540, and STD 1273.41
• VW TL52162
ZF TE-ML-14B, 16L and 17C

VALVOLINE는 MaxLife ATF를 포함하여, 모든 제품의 뒤에 서있다(제품보증을 한다). 
VALVOLINE이 추천하는  ATF MaxLife의 사용은 차량의 보증을 무효화하지 않을 것이다. 
자동차 제조 업체들은 보증의 조건으로 특정 브랜드나 제품 또는 서비스의 상호의 사용 요구 등은 연방 법률에 의해 제한됩니다.

[다음은 맥 너슨 - 모스 보증 법의 해석에 관한 연방 거래위원회의 웹 사이트에서 발췌 한 것입니다 :
일반적 조항 "끼워 팔기" 판매 조항은 허용되지 않습니다. 
이러한 조항은 보증 제품의 구매자가 보증 구제를받을 수 있도록하기 위해 보증 된 제품과 함께 사용하는 특정 회사의 상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하기 위해 필요합니다. 다음은 금지의 예 끼워 팔기 판매 조항입니다.

새로운 난연 브랜드 진공 청소기 보증 효과를 유지하기 위해, 당신은 정품 난연 브랜드 필터 백을 사용해야합니다. 유지 관리를 예약 한 실패는 그레이트 아메리칸 유지 보수 회사, 주식 회사, 구멍이 보증 비용으로, 수행.]
[  ]괄호안의 내용은 예를 들어 미션오일의 사용을 특정제품이나 특정서비스에 의해서만 사용,이루어진다고 하면 미국연방법에 위반된다는 것을 말하고 있는듯 합니다 그러니깐 어떤 제품이나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으면 as해주지 않는다고 주장하는것들...당근 이러건 갑의 횡포아닐까요?!  여튼 미국은 소비자를 갑으로 아는 선진국!!!

VALVOLINE는 광범위한 테스트를 실시하고 응용 프로그램의 넓은 범위에서 ATF MaxLife의 성공적인 사용의 오랜 역사를 가지고있다.VALVOLINE 권장 응용 프로그램에서 ATF MaxLife를 사용하는 동안 당신이나 당신의 고객은 전송 손상을 경험 확률이 낮은 사건에서,VALVOLINE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1-800-tesm VAL.

ATF MaxLife 더 높은 성능 미션오일을 특별한 요구를 충족하도록 설계되어 있지만, 새로운 미션 또한 자사의 강화된 산화 방지, 전단 안정성, 인감 호환성의 혜택 보호구를 착용하고 antishudder 수 있습니다
보호. 많은 소비자들이 새로운 전송에서 이러한 수준의 성능을 활용하기 위해 선택했습니다.

VALVOLINE ATF MaxLife은 저점도(low viscosity)미션오일을 사용,추천하는 차량의 미션오일에는 사용을 권장하지 않습니다. 그러한 것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Mercedes Benz NAG-2, ZF Lifeguard 6 and 6 Plus, and AUDI G055-162-A6 and G055-005-A2.

VALVOLINE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대부분의 연속 가변 변속기 (CVT) 나 포드 F 형 유체가 추천된 자동 변속기에 MaxLife ATF의 사용을 권장하지 않습니다.


감사합니다,
톰 스미스
Thom Smith
Technical Director, Valvoline Brand
Ashland Consumer Markets


역시 발보린 맥스라이프 ATF 굳이네요~!

발보린 맥스라이프 DEX/Merc ATF (자동미션오일) 자세히 살펴보기

우선 전체적 상품을 보시면

다양한 문구들이 있습니다. 
무슨 뜻인지 대충들 아시나요?
미스테리한 단어,거기다가 잉글리쉬,,ㅋ

하나씩 풀어가도록 하죠


위 사진은 스마트어플로 문구를 넣어봤습니다 걍 장난삼아 올리것이니 대충 보시고요 ^^;;




위 사진상 메이커는 valvoline입니다. 발보린의 대표 브랜드중 하나가 MAX LIFE입니다
수명을 최대화한다는 뜻입니다
발보린은 이 맥스라이프의 인기로 북미에서 인기좋은 브랜드로 발돋음할 수 있었을 정도로 큰 인기를 끈 브랜드입니다
full synthetic이란 합성유가 가득, 즉 100%합성유입니다~란 말이구요
ATF는 랜스미션루이드의 영문약자입니다. 즉 자동미션용오일이란 것!
DEX와 MERC 문구가 보입니다
DEX는 덱스론Dexron을 대신한 문구입니다 덱스론은 GM의 미션오일명칭입니다.MERC는 포드의 미션오일명칭 Mercon을 대신한 문구입니다
몇년전 두 회사는 덱스론과 머콘이란 단어를 제품이름에 사용하지 못하게 하였습니다
그래서 줄여서 dex / merc 라고 표시한 것입니다
MERCON LV는 포드머콘의 가장 최신의 오토미션오일규격입니다 즉 새로 개발된 포드 미션에 맞는다~
미국제품이므로 용기는 1리터가 아닌 946ml,즉 1쿼터입니다


자 이번엔 아래 사진을 보시면요~
세계적으로 가장 많은 차량을 팔고 있는 회사들의 미션에 사용가능하다는 것으로
for most GM,Ford,Toyota,Honda에 추천한다고 써있습니다
그러면서 더 궁금하면 뒤 면을 보라고 써있습니다  See Back Panel



그래서 뒤를 보았더니 깨알같은 영문이 쓰여있습니다(위사진)
씰첨가제로 누유를 방지한다고 써있구요(reduce leaks)
합성기유로 글레이징(마모되어 매끈해짐)과 슬립을 좀더 방지한다고 하구요
내마모성을 갖고 있고요(Durable Friction)
안티웨어(손상방지죠)효과가 있다~
요렇게 제품의 특징,장점을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그 아래에는 '발보린은 다음의 미션오일규격에 사용을 추천한다'고 쓰여있습니다

GM의 덱스론II,덱스론II,덱스론VI   덱스론II(2)규격을 고집하시는 분들이 아직도 많죠^^ 역시 최신의 덱스론6도 만족합니다
Ford의 머콘LV에도 추천되구요(링크를 클릭하세요^^ 요건 추후 따로 이야기하겠습니다)
도요타(렉서스포함)의 Type T, T-III, T-IV and WS (except hybrids)를 만족하며
혼다(어큐라포함)의 미션오일규격인 ATF-Z1을 만족(단 CVT에 사용불가)
닛산(인피니티포함)의 Matic D, Matic J, Matic K, and Matic S를 만족(삼성르노의 규격이 이거죠)
그리고 반가운 문구가 나옵니다 ㅎㅎ
현대/기아의 SP-II, SP-III, SP-IV and SPH-IV를 만족 (현대 기아의 약진이 눈으로 느껴집니다요 ㅋ)
bmw의 규격도 나옵니다 7045E,ETL 8072B, LA2634 그리고 LT71141(링크를 클릭하시면 좀더 자세히 알수 있어요)
참고로 bmw규격은 얼마전부터 표기되었습니다. 아직 미국이나 한국의 메이커홈피에는 업글이 안되어있습니다
allison(유압및미션제조사입니다)의 규격도 보이구요
벤츠(MB)의 NAG-1도 만족합니다(~mb236.11까지의 규격을 뜻하며 5단미션까지를 통으로 NAG-1이라 부릅니다)
볼보도 있지요 
그리고 아우디의 규격들도 보입니다
이렇게 제조사가 추천규격을 나열하는 이유는 각 미션제조사마다 오일규격이 다르므로
자신의차량에 맞는지를 확인하라는 이유도 있습니다




아래사진은 스페인어로 다시한번짧게 쓰여있구요(미국내 라틴계의 약진 @@)



아주~ 자세히는 아니겠지만
문구가 뜻하는 의미들을 나열해 보았습니다
알면 쉽게 내차에 맞는지, 오일의 품질은 어떤지가 대충은 보이실거에요
수입미션오일들은 가격이 천차만별이지요
물론 품질에 따른 차이도 있지만
흔치않은 규격을 내세우며 고가정책을 펴는 경우도 많습니다
발보린의 이 제품은
다양한 규격을 만족하면서도
국산미션오일가격정도에 구매가 가능한 제품이지요

저희 한국윤활유(오일집)에서도 미션오일중 판매상위를 유지하는 스테디셀러입니다

오토미션오일 자동미션오일 atf=AUTOMATIC TRANSMISSION FLUID의 규격에 대해

제가 처음 운전면허를 시험볼때만 해도 수동미션차량이었습니다만;;
현재는 오토미션차량이 대부분입니다
그만큼 운전이 편리하기때문이겠죠
오늘 할 이야기는 미션에 대한 기계적 이해는 아니구요
단지
내가 운전하고 다니는 차량의 오토미션에는 어떤 미션오일이 들어가는지 알아보는 정도입니다

합성유가 대중에게 그나마 친숙하게 다가서기 시작하던 10여년전,한때 오토미션오일에 대한 논쟁으로 
각종 차량및 오일 동호회가 뜨겁던 때가 있었습니다
엔진오일의 경우 합성유는 대부분의 규격을 초월하는 품질로 인정받았고 실제로도 
대부분의 규격을 승인받은 제품들이 대부분이었습니다
합성엔진오일의 이런한 막강한(?) 품질 덕분에 합성미션오일에 대해서도 묻지마식의 막강한 신뢰를 주기에
망설임이 없던 시절이었습니다
하지만 오토미션은 그 제조사마다 규격이 매우 다양하고 엔진의 발달 못지않은 빠른 변화로 
점점 더 규격에 대한 절실한 이해가 필요하게 되었습니다.

그럼 왜 미션오일규격이 중요할까요?
미션이란 쉽고 단순히 말해서.. 복잡한 기계입니다;;
소재도 다양하구요 방식도 미션마다 차이가 있습니다
아무리 품질좋고 비싼 합성미션오일이라고 해서 규격을 무시하고 사용하기엔 위험부담이 있습니다
즉 규격이 같은 광유, 합성유가 있다면 합성유가 당근 좋습니다
하지만 합성유라고 해서 규격이 다른 미션에의 사용을 당근 좋다고~ 할 수 없습니다.

엔진오일의 규격도 복잡하다고 하시는 분들도 있지만
미션오일규격에 비하면 매우단순해 보일 정도로 미션오일규격은 다양합니다
하지만 어려울건 전혀없습니다 
내차의 미션오일규격만 알면 된다는 것이죠^^
차량매뉴얼을 보시면 대부분의 자동차제조사는 친철하게 미션오일규격을 기재해 놓습니다
때론 정식규격이 아닌 독자적인 규격을 표기하는 경우도 있지만
이때에도 대부분 정식규격을 알 수 있도록 비슷한 용어로 표기를 합니다(예로 matic D라는 국제공용규격대신 satf-D라는 식으로)

미션오일의 규격에 뭐가 있는지 대충.....

우선 대표적인 것이 
덱스론(dexron)과 머콘(mercon)이 있습니다
지엠에서 만든 미션에는 덱스론을 넣습니다
포드에서 만든 미션에는 머콘을 넣습니다
그래서 가끔 미션오일을 덱스론으로 호칭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덱스론은 숫자를 붙여줍니다. 덱스론III(3) 덱스론VI(6)등으로 말이죠
3이 3단미션이나 6이 6단미션을 뜻하지 않습니다~! 간혹 그런 뜻으로 알고 계시는 분들이 꽤나 있습니다만 아닙니다^^

몇년전까지만 해도 덱스론계열을 추천하는게 보통이었습니다만 앞선 말씀드렸듯이 미션의 발달에 따라 
규격도 다양화 되었습니다

대표적인 것이 현대,기아의 sp-III입니다. 직결형미션이라는 것에 쓰이는 미션오일의 규격입니다
이것이 발전하여 현재는 sp-IV가 나왔고 또한 SP-IV RR 도 나왔습니다. (이 이야긴 나중에 시간이 나면...;;)

대우는 역시나 덱스론계열(GM)이구요
삼성은 닛산 매틱계열의 미션규격을 갖습니다(matic)
쌍용은 벤츠미션으로 mb236.12 236.14 등의 규격을 보여줍니다

그외 수입차들도 다양한 규격을 갖습니다...만 
역시나 내차의 규격만 잘 알고 계시면 됩니다 
그리고 나서 인터넷등에 검색을 해보시면 규격획득 제품을 선택 사용하시면 됩니다

ps:규격에 대해 공부를 하다보니깐요 재밌는 사실을 하나 발견했습니다
우리자동차회사 및 몇몇 수입차량에는 순정유외에는 사용을 못한다거나
차량매뉴얼에 추천오일을 명시함에 있어서 자신들의 순정오일만을 표기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러니깐 국제적인 규격대신 자사규격이나 어디에서도 알아내지 못할 규격들로 표기하는 경우가 있지요
그런데 미국발보린제품을 검색하다보니 
위와 같은식으로 특정제품(자신만의 제품)만을 사용하여야만 된다거나 그래야 as가 된다거나 하는 표시는
미국연방법에 위반되는 내용이더군요 미국에서는 이런표시는 끼워팔기로 인식,소비자에게 부담을 주는 행위로
인식하는듯합니다. 선진국들은 아마도 대부분 이런법이 있겠지요
울 나라들도 수출을 많이하는 차량일수록 매뉴얼에 규격이 자세히 나와 소비자가 선택할 제품이 다양하도록 해주고 있습니다
울나라도 저런법 만들어주면 좋겠네요~^^

어떤한 한미션에 사용되는 미션오일의 규격은 이름이 여러개로 불리기도 합니다 
미션제조사에서 부르는 이름,그 미션제조사에 납품하는 오일회사에서 붙이는 이름,미션을 납품받아 완성차를 만드는 회사에서 부르는 이름,,, 이래서 소비자들은 똑같은 규격(심지어는 내용물이 같은 제품)의 오일이라도 몇배의 가격을 지불하고 사는 경우도 있습니다
일례로 zf사의 5단미션에 들어가는 zf순정유는 몇미션을 제외하곤 라이프가드5입니다.라이프가드는 품번으로 S671 090 170입니다.(1리터짜리는 S671 090,20리터는 S671 090 172,210리터드럼은 S671 090 171로도 불립니다) 이제품을 납품하는 몇회사중 쉘에서는 atf M 1375.4라고 부른다고 합니다.zf미션이 bmw에 미션이 납품되었을때 미션오일은 또 bmw83229407807이란 식으로 품번을, 순정오일을 제조납품하는 오일회사에서는 이걸 또 LT71141이나 LA2634라 부릅니다.이건 또 zf사에서는 0670 090 166,.0670 090 148로 부릅니다.정말 헷갈릴만합니다^^

1375.4,덱스론6,머콘LV등은 저점도 미션오일입니다 모하비에 쓰이는 1375.4의 경우는 저점도미션오일에 속한다고 보여지구요(쉘의 스파이렉스 S5 ATF의 상품설명서(TDS)에서 S5는 저점도가 적용되는,, 일례로 1375.4의 경우는 추천을 않는다는 식으로 말하고 있는바 )그래서 LT71141은 사용이 되지 않고 1375.4를 사용한다고 합니다

자동차미션의 또하나의 명작인 벤츠의 경우도 NAG-1은 일반점도 NAG-2는 저점도로 나눌수 있습니다. MB236.10은 NAG-1,,236.11은 LT7114과 같이 일반점도.. NAG-2는 236.12 236.14 는 1375.4와 같이 저점도로 나눌수 있겠습니다. 

www.oilzip.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