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도와 점도지수
용어설명
점도
윤활유의 선정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항목중의 하나로서,
일정량의 시료가 일정한 온도에서 일정한 길이를 통과하는 데 걸리는 초수를 측정하여 얻는다.
점도는 측정하는 기구에 따라 여러 가지 단위가 있는데 그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은 동점도(㎟/s) 및 세이볼트 유니버살 세컨드(SUS)이다.
또한 점도는 온도에 따라 변하므로 반드시 온도가 명시되어야 그 의미가 있다. 각종 기계 및 장비마다 속도, 온도, 부하정도 등의 조건이 모두 다르므로 각기 요구되는 윤활유의 점도가 다르다. 따라서 그 요구되는 점도보다 사용하
는 오일의 점도가 더 크면 무리한 작동으로 인해 동력 손실을 초래하고, 더 작으면 충분한 유막을 형성해 주지 못하므로 마모, 긁힘 등의 현상이 발생한다.
ASTM D-445 이외에도 저온 점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Cold Cranking Simulator를 이용하는 ASTM D-2602 또는 D-3829 방법도 있다.
점도지수
점도 지수란 오일의 점도와 온도의 관계를 지수로 나타낸 것으로서 온도가 상승하면 오일의 점도는 낮아지고 반대로 온도가 낮아지면 오일의 점도가 커진다. 점도지수가 높다는 것은 온도변화에 대한 점도 변화가 적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점도지수는 열에 대한 오일의 안정성을 확인하는 시험이다. 이는 광유 중에서 점도 지수가 가장 좋은 미국의 펜실베니아산 오일을 100으로 기준하고 점도지수가 가장 낮은 Gulf Coast산 오일을 0으로 하였을 때 이와 비교, 환산한 시험치이다
소비자들이 헷갈려하는 용어중 하나가 이 점도
점도가 높은 것이 좋다
점도지수가 높은 것이 좋다
점도가 높아 좋은것은 고부하,고출력,장거리,고속시에만!! 맞는 말
점도지수가 높아 좋은 것은 늘!! 맞는 말
점도는 같아도(5w30) 점도지수는 제품마다 다릅니다
같은 점도의 오일이 여러개 있다면
점도지수(VI)가 높은 쪽이 더 성능이 우수한 오일!
댓글 없음:
댓글 쓰기